글로벌 방산기업들은 매크로 이슈에도 불구하고 왜 주가가 크게 하락하지 않았을까?: 최근 한달,YTD 기준 레거시방산, 방산IT솔루션, 인덱스지표 흐름 비교
4줄 요약
1)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 실적 Good! 컨센 대비 서프라이즈!
2)견고한 멀티플: 지정학적 긴장감이 더해지고 있어 멀티플이 견고하게 버티고 있음.
3)현 매크로 상황에서 다른 섹터 대비 상대적 우위: 미국 경기 둔화 등의 이유로 소비재, IT기업들의 실적과 멀티플이 의심받고 있는 와중에, 방산기업들은 B2G라는 비즈니스 특성으로 인해 경기방어주 성격이 강함. 꾸준한 배당과 자사주 소각으로 포트폴리오를 defense하기에 좋아 보임.
4)글로벌 방산IT솔루션 기업들에 주목하자.
1)
최근 한달간 AI거품, 엔캐리 자금, 미국 경기둔화 등으로 인한 매크로 이슈로 주식시장이 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 와중에도 글로벌 방산기업들의 주가는 견조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좀 더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 지수들이 큰 하락세를 보이는 와중에도
글로벌방산ETF는 상대적으로 하락세가 작았습니다.

24.08.08. 기준 / Google Finance
2)
주요 방산기업들의 최근 한달 주가흐름을 살펴보면,

24.08.08. 기준 / Google Finance
Lockheed Martin, RTX, Northrop Grumman은 2분기 어닝콜 이후 주가가 상승하고, 매크로 외풍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모두 어닝서프라이즈가 나왔고(실적), 지정학적 긴장감이 계속 고조(멀티플 요소)되고 있어 주가흐름이 견조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General Dynamics의 경우, 2분기 실적이 컨센서스 대비 낮게 나와 어닝콜 발표 이후 하락세를 보였지만, 이후 하락분을 되돌리며 다시 제자리를 찾아갔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news/general-dynamics-gd-misses-q2-120504404.html
3)
방산IT솔루션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보겠습니다.

Palantir는 매크로 이슈에서 자유롭지 못했지만, 최근 발표한 2분기 어닝에서 컨센서스 대비 실적이 잘나와 다시 주가가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Palantir만큼 현재 AI로 돈을 버는 기업은 없을 것입니다.
24년 5월에도 미 국방부와 AI사업인 Project Maven을 계약했고, 계약규모는 $480M(한화 6,700억원 규모)입니다.
눈에 띄는 건 Parsons Corp.입니다. 이 기업은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나와 주가 흐름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news/parsons-psn-beats-q2-earnings-114508120.html
CACI 역시 오늘 발표(24.8.8.)한 어닝콜에서 서프라이즈가 나와 현재 +4%의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news/caci-international-caci-surpasses-q4-213506088.html
Leidos Holdings와 Booz Allen Hamilton Holdings는 2분기 어닝이 미스가 나서 주가의 흐름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news/leidos-holdings-nyse-ldos-soft-102624612.html
다만, 이 두 기업은 방산IT기업 기준 시총 1,2위 포지션을 가져가고 있고, CACI와 Parsons Corp.와 비교했을 때 주주환원 측면(배당, 자사주 소각)에서 상당히 주주친화적입니다.


Leidos의 최근 5년간 배당금, 유통주식수 추이 / 출처:Macrotrends


BAH의 최근 5년간 배당금, 유통주식수 추이 / 출처:Macrotrends
4)
마지막으로 올해 YTD기준으로 주요 인덱스지수와 레거시방산, 방산IT 기업들의 주가 추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세 차트를 비교해보면,
방산IT기업들의 주가 흐름이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레거시방산과 방산IT를 비교해보자면,
레거시방산기업들은 하드웨어/플랫폼 기반의 제조업 성격이 강하고,
방산IT기업들은 소프트웨어/IT 기반의 서비스업 성격이 강합니다.
둘다 수주 베이스, B2G 비즈니스이지만, 방산IT기업들이 고마진의 서비스 모델, 반복적인 수익 구조, 자본효율성이 높은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현재 미 국방부의 최대 중점 사업은
AI를 활용한 CJADC2(Combined Joint All-Domain Command and Control)의 도입과 무인체계의 확대입니다.
JADC2에서 CJADC2로의 확장에 담긴 의미는? AI 전략과의 연계성은? 비판과 제한사항은?
최근 국방 뉴스를 보니 미 국방부가 JADC2에서 CJADC2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네요. 이러한 용어...
blog.naver.com
https://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36172
AI가 전쟁의 흐름을 바꾼다 - 주간조선
‘초지능 컴퓨터가 인간을 살해’하는 끔찍한 장면에 대한 두려움은 오래전부터 대중들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일례로 1983년 개봉된 영화 ‘워게임(War Games)’의 하이라이트는 WOPR(전쟁작전계
weekly.chosun.c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5472#home
美 드론 전략 "中 함대 대만해협 건넌다면 '무인지옥' 빠질 것" | 중앙일보
중국의 대만 침공을 막기 위한 미국의 최우선 전략은 중국군이 대만해협을 건너는 데 엄청난 전력 및 시간 손실을 감수하도록 만드는 수천기의 드론을 배치하는 것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10
www.joongang.co.kr
이를 가장 잘하는 기업들이 방산IT솔루션기업들이고,
그중 Palantir Technologies와 Anduril Industries(비상장)가 두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Carlyle과 Blackstone과 같은 사모펀드에서 방산IT솔루션회사들을 인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확실히 이쪽 분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돈이 된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