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 차별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
빅테크 팔로우업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정리 - 1.txt
1.비즈니스모델의 중요성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가 아름답게 분산되어 있다.
한 부문에서 빵꾸나도 다른 부문에서 매꿔준다.
애플은 아이폰의 비중이 점점 줄어들고 있으나 서비스와 다른 디바이스들이 새로 출시되면서 아이폰의 빈자리를 매꿔주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Office와 Windows 비중을 다른 부문들이 매꿔주고 있다.
게임회사 액티비전블리자드를 80조원에 현찰박치기로 인수하며 메타버스도 착실히 준비해가고 있다.
반면 알파벳(구글), 아마존, 메타(페이스북)은 한 부문의 비중이 너무 크다.
알파벳과 아마존은 그나마 클라우드 사업과 미디어(유튜브, 아마존프라임 등)라도 있으니 망정이지, 페이스북은 광고수익이 97% 차지한다. 요즘같이 인플레이션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기업들은 비용을 줄여야 하고 그럼 가장 먼저 뭘 줄일까?ㅋ 광고겠지.
페이스북이 취약한 지점이 바로 저거다.
사실 알파벳도 광고의 비중이 너무 높다. 4Q는 선방했지만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른다.
YouTube Ad Sales Hit $8.6 Billion in Q4, up 25% and Topping Netflix Revenue for Quarter
YouTube’s advertising business continued to power forward in the fourth quarter of 2021, delivering solid growth and surpassing Netflix’s global revenue for the period. The internet vid…
variety.com
유튜브의 매출 규모가 넷플릭스보다 높다니...ㄷㄷㄷ
심지어 유튜브의 비즈니스모델은 넷플릭스 보다 훨씬 좋다.
유튜브 서버증설만 하면 되고 제작비용이 안 들어간다. 크리에이터들이 알아서 찾아온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돈을 버는 족족 콘텐츠 제작에 재투자해야 한다.
OTT시장의 Market Share를 뺏고자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 역시 넷플릭스에겐 좋지 않은 환경이다.

에어팟의 영업이익도 엔비디아, AMD보다 높다 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