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제정세 79

2022년을 기점으로 세계화는 끝났다. 탈세계화의 시작이다.

유럽은 러시아의 우크라 침공을 통해 러시아로부터의 의존을 줄여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미국은 중국제조2025를 통해 중국의 본심을 알게 되었다. 대한민국은 2019년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통제/2021년 중국의 요소수 수출통제를 통해 대외의존도를 줄여야한다는 걸 깨달았다. ​ 2002년 중국의 WTO가입 이후 본격화된 세계화 시대에는 물품을 효율성과 저가로 조달하는게 중요했고 글로벌공급망(GVC)가 형성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동안 세계는(특히, 미국과 유럽) 효율성 중독에 빠져 대중, 대러 의존을 너무 높여왔다. ​ 그 결과는? ​ 유럽은 러시아의 2014년 크림반도 침공, 2022년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면전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왜?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기 ..

K-방산, 지정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수혜 산업! 방위산업 섹터의 리레이팅?

22년 2월 둘째주 Economist지에 실린 우리나라 방산 수출 관련 기사. "South Korea가 세계 최대 무기수출국 중 하나가 되려 한다." https://www.economist.com/asia/2022/02/12/south-korea-wants-to-become-one-of-the-worlds-biggest-arms-exporters South Korea wants to become one of the world’s biggest arms exporters A legacy of defence spending and support from America are boosting the weapons industry www.economist.com 기사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을 "Chief Peace..

(211228) 외교안보 분야 조직개편 필요한가?

https://youtu.be/gFOsY_P27PU 요즘 운전하면서 자주 듣는 유튜브 채널 중 하나. 플라자 프로젝트. https://www.youtube.com/channel/UCy_3FjBqkPWPx1bXd1ucmvA/about 플라자 프로젝트 Plaza Project 미중 전략경쟁 상황 하에서 보수와 안보를 아우르는 우리나라의 정치, 외교, 안보, 국방 그리고 경제와 금융의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공부하는 스터디 그룹 “플라자 프로젝트”를 여러분께 소 www.youtube.com 좌우 진영 논리에서 중립적인 외교안보 전문가분들이 나와 각 사안에 대해 설명해주는 채널이다.

국립외교원 외교전략센터

https://www.knda.go.kr/knda/hmpg/kor/bbs/NoticeBbsView.do?bbsSn=1289 국립외교원 홈 열린마당 공지사항 공지사항 메뉴 담당자 정보 안내 메뉴담당자 : 기획협력과 전화 : 02-3497-7799 www.knda.go.kr '20.3.4. 개소. □ 외교전략센터는 △ 미·중 전략경쟁 시대 안보, 경제, 기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위기요인을 식별하고 대응 기준과 지침이 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것이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관련 주변국과의 지식공동체 구축 및 동북아 안보 아키텍쳐 구축과 관련한 연구, △ 중견국 외교전략, 세계여론 및 전략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동북아평화협력플랫폼』의 주요 사업인 「동북아평화협력포럼」연..

(FT 211120) 러시아에게 있어 우크라이나는 핵심이익?

https://www.ft.com/content/f0061a68-82be-415c-bf33-b2f4c6bd2496 ‘We are one people’: Russia bemoans Ukraine’s ‘separate path’ Conflict with Kyiv stirs emotions of Russians who have close cultural and family ties to the country www.ft.com 푸틴은 소련의 해체가 "20세기 최대의 지정학 재앙"이었다 한다. 그렇다면 푸틴의 지향점은 은 옛 소련의 영광을 되찾는 일이겠지... 7월에 푸틴은 '우크라이나의 주권은 오직 러시아와의 파트너쉽하에서 있을 수 있다, anti-russia세력이 집권하는 걸 허용할 수 없다'라고 했단다. ..

해저케이블 지정학

1) https://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29 해저 케이블, 미·중간 네트워크 인프라의 지정학 경쟁 - 르몽드디플로마티크 자유지상주의자들이 꿈꾸던, 사기업이 인터넷을 점령하는 세상은 점차 멀어지고 있다. 이해할 수 없는 현상 앞에서 오랫동안 무력했던 정부가 마침내 디지털 무대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인 것이다. 19세기 이후 통... www.ilemonde.com "오늘날 대륙간 통신의 99%는 해저 케이블을 통해 이뤄진다, 즉, 해저 케이블 관련 정보의 확보와 선점은 정부의 중대과제가 된 것이다. " ​ ​ 2) https://www.yeosijae.org/research/1022 구글과 페이스북은 왜 해저케이블 기착지에서 홍콩을 배제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