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투자/투자고수인사이트 40

(220510) 겁먹지 말자

오늘도 매수했다. Work and Buy 윤지호 센터장님 페이스북 펌 220510 이제 더 위험하다고 말하면 말할수록, 대중들의 '좋아요'가 늘어난다. 구조적 대세 상승장이라 합창하던 이들은 이제 구조적 대세 하락장을 합창한다. 연준은 인플레를 통제못할 것이고, 기입이익은 무너지고, 전쟁은 격화되고,,, 또 뭐가 있을까? 주식은 무조건 간다고 하던 이들은 조용히 발을 뺀다. 항상 그래왔고, 이번에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원화자산을 사야할 때이다. 설령 좀 더 힘든 국면이 있더라도...

커리어를 포함한 큰 틀의 포트폴리오

페이스북 버핏클럽 펌(220430) 🔥정승혜의 '여성의 욕망에 투자하라'🔥 “안정적인 수입이 있으면 나는 ‘채권’입니다. 반면에 월급은 불안정하지만 벤처투자회사에서 주식을 받고 회사의 IPO를 목표로 일한다면 나는 ‘주식’입니다. 내가 채권이면 투자는 주식으로 하면 됩니다. 수입이 안정적이니 부족한 수익률은 투자를 통해 높여야지요. 그런데 내가 주식이면 이미 내 몸에 리스크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어요. 그래서 투자는 안정적으로 가져가는 게 좋습니다.” 남궁민 기자 페이스북 펌(220227) 리스크를 알면 전략이 나온다. 2000년에 출판업계서 근무하는 직장인의 최대 위험은 인터넷 포털이다. '인터넷 산업의 발달로 책이 덜 팔려서 회사가 망하는' 걸 위험으로 정의했으면 헤지할 수 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네..

안전마진

정채진님 페북 펌(220429) 변화 1. 아래 장표는 예전에 이언투자자문 박성진 대표님이 강의한 내용 중 한 페이지를 가져와 문구를 살짝 추가한 것이다. 안전마진과 내재가치에 대해 중요한 부분을 이야기 하고 있는데, 그것은 내재가치와 안전마진을 계산함에 있어서 정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상식적인 수준에서 봤을 때 싼 것 같다 라고 느낄 정도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투자에 경험이 적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투자 고수들은 엄청난 비밀 기술을 가지고 있거나 엄청난 정보력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 좋은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익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데 사람들이 관심이 없어 오랫동안 싸게 거래되거나, 우량한 자산을 가지고 있는데도 그 가치의 1/3 이하의 가격에 거래되는 회사들이면..

엉덩이 투자

Ace Cho님 페북펌(220429) 엉덩이로 버티기 시장 참여자들이 생각보다 버티기를 투자의 우위로 쳐주지 않는다는 걸 요즘 많이 느낀다. 물론 본인의 의사결정 과정이나 결론이 잘못된 걸 알았다면 포지션을 정리할 수 있지만, 이야기를 들어보면 팔 이유가 전혀 없는데 조금 버티다가 주가가 안 올라서 팔아버리고 그 이후에 오는 큰 상승을 누리지 못하는 케이스가 많더라. (나도 이런적이 꽤 많다.) 자꾸 간과한다. 주식시장은 NBA에서 보여주는 버저비터나 불꽃 승부는 잘 없다. 게다가 주식마다 변동성도 다르고 일정한 스케일이 있는것도 아니다. '화려한 기업분석' 보다도 핵심 아이디어 + 숫자 + 무거운 엉덩이가 더 유리하다. 재료만 좋으면 뭐하나, 제대로 우러 나올 때까지 푹 고아야 비로소 곰탕은 완성된다...

주식투자에 알맞는 인간 유형

Russell Park님 페이스북 펌(220428) 부자아빠님 영상마다 하시는 말씀이 있다. "여러분, 주식은 우울증 사업입니다." 주식은 마음의 사업인데 올라서 행복한 시간은 짧은 찰나이고, 대부분의 투자 기간은 하락 및 횡보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인간 유형은 주식투자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따라서 주식투자를 권유하는 건 어떻게 보면 사람을 불행하게 만드는 일이다. 행복해지려면 주식을 하면 안된다. 사실, 주식투자에 어울리는 인간 유형은 따로 있다. 예를 들면.. 학교 다닐 때 수업종료 10분 전에 손 들고 질문 하는 사람 교회 가서 목사님 설교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사람 관행에 이의를 제기하고, 다 뜯어 고쳐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 외로움에 익숙한 사람 즉,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집단화를 병적으로 싫어하고..

투자란 인간의 본성을 거스르는 일

김봉수 교수님 페이스북 펌(220419) 투자란 인간 본성에 거슬러서 행동해야만 하는 심리적으로 진짜 부담스러운, 늘 불편한 게임이다. 우리가 학생 때 성적 올리기가 어려운 이유는 자고싶은데 잠을 참고 하기 싫은 공부를 억지로 해야하기 때문이다. 술을 끊기 어려운 것은 술을 마시면 기분이 너무 좋아지는데 그걸 마시지않는 것은 너무도 힘들기 때문이다. 담배도 그렇고 다이어트를 하면, 맛있는 빵도 못 먹고, 디저트도 못 먹고, 과자도 못먹는다. 그런데, 다이어트를 할수록 배는 더 고파지고 음식은 더 먹고싶어진다. 주식이 내려가면 팔고싶어지지만, 그걸 참아야한다. 너무 어렵다. 그런데 십 년 동안 그렇게 안 팔고 지내면 그게 습관이 되어서 나중에는 팔아야하는데 팔 수가 없는 심리가 되어버린다. 어쩌라고? 파는..

(220415) 평균회귀의 힘

인사이동 후 첫 연가를 썼다. 모처럼 잠도 푸욱 자고 방청소/분리수거하면서 유튜브를 들었다. 언제나 풍성한 인사이트를 주시는 박성진 이언투자자문 대표님와 이건규 르네상스자산운용 대표님. (1)박성진 대표님의 책 소개 콘텐츠 https://youtu.be/L_PJWOR1aWo (2) 이건규 대표님의 책 소개 콘텐츠. https://youtu.be/AV79ZtTt0ks (3) 이 두 콘텐츠와 책에서 공통적으로 반복되는 키워드는 "평균회귀" 세상에 영원히 꼭대기에 있는 것은 없고, 영원히 지하에 있는 것은 없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메시의 영광도 시간이 지나면서 추락할 수 밖에 없다. https://www.interfootball.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1607 ‘리그..

인플레는 선물이다.(김봉수 교수님)

김봉수 교수님 페이스북펌 220331 ​ 인플레가 주식투자자에게는 선물이다. ​ 미국이 코로나 핑게로 수 조 달러를 풀어제낄 때 주식을 투자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왜냐면 어마어마한 인플레가 닥쳐올 것이기 때문이다. ​ 우크라이나 전쟁은 인플레를 더 강화시키고 있다. ​ 성장전망은 하락하는데 물가 전망은 상승한다. ​ 그런데 여기서 함정이 있다. 명목성장률은 물가상승으로 인해 더 상승하는 것. ​ 주가는 무조건 명목주가다. 물가 오른다는 건 매출 증가다. 이익은 더 증가한다. ​ 그래서 대표적으로 인플레 헷지가 가능한 금융 자산은 주식이다. 부동산과 코모디티는 보유비용, 유동성 등에 문제. ​ 인플레상황에서 가장 유리한 것은 경기민감주라고 본다. 지금의 경기는 확장시기이지 (절정의 이전 시기) 축소시기가..

(220128) 급락 시 고수들의 인덱스ETF 매수 방법

1> 페이스북 Byeongho Kang 선생님 포스팅 (220122, 220128) 220122 불편하실 수 있는 글. 죄송합니다. 작년 3Q에 한국 주식시장이 꺾였죠. 개인 투자자들은 몇달 시달리다가 4Q 즈음 미국장으로 많이들 넘어가시더라고요. 그때 느낌이 좀 쌔했는데.. 왜 쌔했냐면, 넘어가는 근거가 미국장 불패론 때문이라 쌔했습니다. 투자에서는 자신만의 원칙이 있는게 승률이 높은데, 당시 대중의 분위기가 미국장 불패론으로 조성되어서 다같이 움직인다는 느낌이 들었거든요. 물론 미국장이 10년 주기로 보면 불패긴 합니다. 아주 과거가 아니라면요. 그런데 time frame을 5년으로만 줄여도 재미 없는 구간이 나옵니다. 더군다나 3년으로 줄이면 재미 없는 구간이 1회 이상 나오고요. . 미국장이든 한..

(220127) 고수들의 현 상황 점검 및 마음가짐

ㅇ 22년 1월 27일 현 시점은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이후 V자 반등시와는 다름. 오히려 지루한 L자형 장기간 조정을 감소해야 함. 올라도 횡보할 가능성 높음. 20년 3월: 무제한 유동성 공급 vs. 현재: 유동성 축소 국면 신용융자잔고의 감소 폭이 아직까지 낮음. 현 시점에 대한 매수 신중 필요. 매수 적기 시점은 2월 중순 https://blog.naver.com/crush212121/222632651837 현시점 개인 시각 현재 현금을 보유 중이시거나 아니면 신용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과매도 구간의 저가 매수를 계획하시고 있...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ganjigaja/222632941780 현 주식시장에 대한 단상 코로나 폭락 이후 나온 V 반..